나의 9rowth 일지
제9회 배움의숲 나무학교 수업축제 후기
천둥(경천중학교 영어 교사)
‘9rowth: 교실을 잇다 배움이 있다 수업을 빚다’
제9회 배움의숲 나무학교 수업축제의 슬로건입니다.
매년 수업축제를 기획하면서 개인적으로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슬로건을 정하는 일입니다. 그래서 몇 년 전부터는 나무학교 구성원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해 수업축제의 슬로건을 공모하는 방식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벌써 아홉 번째 수업축제인데 숫자 9가 슬로건에 포함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성장교실 교육팀장인 만큼 ‘성장’이라는 단어와 합쳐 9rowth로 표현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응모했습니다. 조혜진 대표의 ‘교실을 잇다, 배움이 있다, 수업을 빚다’라는 멋진 문장과 함께 합쳐져 최종 슬로건이 결정되었습니다.
- 9rowth 1: 오프닝, 밸런스게임
새로 취임한 나무학교 공동대표, 양철웅 선생님과 조혜진 선생님의 환영의 말씀과 나무학교 내 소모임 소개를 진행된 후, 행사 일정과 함께 마지막 이벤트 응모 방법 설명을 제가 이어 나갔습니다.
매년 수업축제 오프닝으로 반응이 뜨거웠던 ‘햇볕 한 줌’의 공연을 대신할 무언가를 고민하다가, 서로 모르는 새로운 선생님들과 예비교사들을 위한 아이스브레이킹 활동으로 나무학교 뉴페이스 성장교실 9기 이나영 선생님과 강정안 선생님의 밸런스 게임으로 축제의 문을 열었습니다.
계획과는 다르게 무료 계정의 한계로 선생님들이 모두 접속을 하지 못해 잠시 당황하긴 햇지만, 많은 선생님들의 공감을 얻었던 밸런스 게임 내용 덕분에 많은 웃음을 드리며 오프닝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 오프닝 장면
9rowth 2: 수업&공동체 부스
작년과 같은 방식으로 30개의 수업 부스와 8개의 공동체 부스가 운영되었고 다양한 교실과 교사들의 이야기를 들려주셨습니다. 소모임 부스들의 독특한 경품들과 이벤트가 정말 다양했는데 올해 축제에도 기대해보겠습니다. 여러 부스를 조금 더 활발하게 둘러보실 수 있도록 마련한 나무학교 스티커 덕분에 다른 해보다 참가자 선생님들께서 더 열심히 돌아다니는 모습이 느껴져서 뿌듯한 순간이었습니다.
▲ 수업&공동체 부스 운영 장면
배나무숲 1: 배움이 있는 성장교실 9기 선생님들의 강의
요즘 뜨는 맛집인 세교리 김밥을 점심으로 먹고, 오후에는 성장교실 9시 선생님들께서 운영하셨던 교육과정을 90분으로 압축해서 강의를 진행해주셨습니다.
◎ 학생상담팀(안운한 선생님, 명수희 선생님, 이예은 선생님, 김민경 선생님, 박선영 선생님)
◎ 학생생활교육팀(박현정 선생님, 황보미 선생님, 김근희 선생님, 김정은 선생님, 김채영 선생님, 장미란 선생님) - 중,고등학교 실제 수업 사례 나눔과 함께 PDC 기법 실습을 도와주셨습니다.
◎ 협동학습팀(문서영 선생님, 장윤아 선생님, 박하은 선생님) - 모둠 구성 및 모둠세우기와 함께 직소와 정탐꾼 활동을 통한 협동학습 실습을 도와주셨습니다.
◎ 교육과정재구성팀(유효정 선생님, 이나영 선생님, 박성미 선생님, 곽나연 선생님, 강정안 선생님) - 수업 좋.아.해 활동 및 수업 비전 세우기를 통해 교사교육과정이란 무엇인지와 사례를 함께 다뤄주셨습니다.
◎ PBL팀(조대근 선생님, 임태희 선생님, 이준연 선생님, 조혜선 선생님, 임찬욱 선생님) - 7가지 필수요소로 PBL에 관해 알아보고, 나만의 PBL아이디어 구상 및 공유하기를 진행해주셨습니다
◎ 게이미피케이션팀(김범준 선생님, 김지혜 선생님, 이정은 선생님) - 에듀테크 플랫폼 활용 퀴즈 게임을 소개해주시고 연극퀴즈를 활용한 한국사 수업과 jeopardy를 활용한 영어 수업 사례를 공유해주셨습니다.
▲ 성장교실 9기 선생님들의 강의 장면
배나무숲 2: 배움의숲 나무학교 선생님들의 강의
김두리 선생님께서 2023 수업혁신사례연구대회, 2024 해냄에듀수업공모전, 2024충남온수업사례공모전 이야기를 들려주셨고, 전국단위 수업, 평가 연구회(마이크로티칭 수업나눔)을 공유해주셨습니다.
공진 선생님께서는 챗봇과 함께하는 가정 수업 사례 소개와 함께 POE, ASKUP 실습을 도와주셨고, 클리포를 활용한 수행평가 채점 및 과세특 입력을 진행해주셨습니다.
노지인 선생님과 탕정중 배연진 선생님께서는 학생주도성 수업의 필요성을 설명해주시고 이론 소개와 함께 사례를 발표해주셨습니다.
이민수 선생님과 이세로 선생님은 낭독극 수업의 필요성과 함께 중고등학교의 사례를 공유해주셨습니다.
이광현 선생님은 성평등과 젠더체제에 대해 소개하고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차별의 언어들과 혐오 표현에 대해 색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주셨습니다.
백순우 선생님, 김선명 선생님, 김준수 선생님, 양철웅 선생님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키워드를 소개해주시고 초등, 중등 도덕, 중등 국어 수업의 사례를 발표해주셨습니다.
▲ 나무학교 선생님들의 강의 장면
배나무숲 3: 소모임 활동 나눔
나침반(방영화, 김유미, 김보영, 나영미, 박성자, 이우경)에서는 인사 나누기와 공감훈련, 성인애착유형검사를 실시한 후에 해석해주셨고 성공적인 관계를 맺기 위한 성찰 능력 향상에 필요한 복기 질문 실습을 도와주셨습니다.
중등국어모임 소풍(조혜진, 하경일, 장은아, 전진아)은 시와 친해질 수 있는 활동 수업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토의토론 수업, 그림책 프로젝트 수업과 함께 월별 활동 사례를 공유해주셨습니다.
생활교육연구소(인치선, 정다정)에서는 학급긍정훈육법에 따른 교실 규칙 세우기와 함께 당장 쉽게 쓸 수 있는 학급 운영 아이디어를 나눠주셨습니다.
에듀테크 도장깨기(김영수, 문명현, 임보라, 유지선, 안소현)에서는 학교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 기술을 소개해주셨습니다.
▲ 소모임 활동 나눔 장면
숲다방&탁아방(ft.포토부스)
참가 선생님들께서 휴식 시간에 차도 한잔 드시고 당 보충도 하실 수 있도록 준비한 숲다방과 함께 올해는 기념사진 촬영이 가능한 인생네컷 포토부스가 운영되었습니다.
사진을 촬영하면 날짜와 함께 제9회 나무학교 수업축제라는 문구도 함께 출력되어서 오랜만에 만난 선생님들과 함께 촬영해서 기념품으로 가지고 가기에 안성맞춤이었습니다.
더불어 항상 수업축제에 참가하는 아빠 엄마 교사들의 걱정을 덜어주시는 맹꽁이 선생님이 운영해주신 탁아방 덕분에 많은 선생님이 활동에 조금 더 집중하실 수 있었습니다. 잘 놀고 있으려나 걱정되어 점심에 잠깐 아이를 보러 간 동료에게 나 여기 친구들이랑 놀아야 하니까 엄마 빨리 가라고 하는 걸 보고 한참을 웃었습니다.
▲ 포토부스 사진과 탁아방 아이들의 모습
9rowth&숲: 마무리 활동
선생님들께서 행사 시작 전에 안내했던 경품 추첨을 위한 이름표에 스티커 모아오기를 적극적으로 해오신 덕분에 마지막 코너였던 릴레이 경품 추첨을 마치고, 기념 촬영과 함께 행사가 마무리되었습니다.
▲ 수업축제 기념 촬영
10번째 수업축제를 기대하며
9기 성장교실 교육팀장으로서 2024년은 또 다른 성장을 이룬 한해였던 것 같습니다. 나무의 나이테가 늘어가는 것처럼 한해 한해 조금씩 성장해나가고 있는 이 땅 위의 모든 선생님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만나는 학생들이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 주고 싶은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