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소리 읽기
home
최신호 읽기
😄

8월 성장교실 이야기: 엉망진창이지만 귀여운 교사 교육과정

글쓴이
강정안(병천중학교 가정교사)
카테고리
나무학교 성장교실 이야기
키워드
2024년 8월 성장교실 이야기
교사교육과정
작성일
2025/07/23 06:14
호수
9

8월 성장교실 이야기 :엉망진창이지만 귀여운 교사 교육과정

강정안(병천중학교 가정교사)
내가 하고 있는 수업이 교육 목표에 맞는 걸까?”, “나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배움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학생과 교실은 매년 바뀌는데 나도 바뀌어야 하는 거 아냐?”, “교육의 가장 기본인 교육과정이 가장 무서워” 2024년 1월, 교육과정에 대한 두려움과 각자 본인의 수업에 대한 의구심이 가득하던 교사들은 오직 ‘집단지성’이라는 단어만 믿고 서로가 서로에게 구원자가 되어주길 바라며 교사 교육과정 팀을 구성하였다.

엉망진창 교사 교육과정팀

어색한 인사를 나누던 첫 만남.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가르치는 학생도 다르고, 교과도 달라서 더 재미있는 낯선 만남이었다. 앞으로 어떻 게 팀을 운영할 것인가 보다 걱정과 두려움 그리고 ‘개학하기 싫다….’라는 이야기만 늘어놓았던 선생님들과의 1년이 정말 기대가 되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던 우리는 일단 책의 도움을 받아보기로 했고, ‘교사 교육과정을 디자인하다’를 같이 읽어보며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약간의 기술을 습득해 보았다. 책을 통해서 익힌 지식과 기술을 각자의 학교에 적용해 보았으나 역시 학교는 녹록지 않았고 교사 교육과정과의 결투에서 몇 번의 패배를 경험해야 했다. 하지만, 서로를 향한 아낌없는 위로와 조언을 통해 조금씩 성장하는 모습, 뿌듯한 수업, 죄책감이 들지 않는 평가와 기록을 할 수 있었다.

서툴지만 귀여운 교사 교육과정팀의 수업 나눔

1. 나의 교육과정 문해력 알아보는 문해력 TEST - 박성미 선생님

박성미 선생님이 직접 제작한 교육과정 문해력 테스트를 통해 선생님들의 교육과정 문해력 정도를 파악하여 오늘 수업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였고, 간단하고 깔끔한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다.

2.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 알아보기 - 유효정 선생님

2024년부터 시작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아직 낯선 선생님들을 위하여 유효정 선생님께서 핵심 내용만 쏙쏙 골라 설명해 주신 덕분에 앞으로 학생들에게 어떤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을 해야 할지, 그래서 나는 어떤 나만의 교사 교육과정을 세워야 할지에 대한 기준점이 생겼다.

3. SWOT 분석을 통한 자원(학습자, 학교, 동료 교사 등) 분석하기 - 강정안 선생님

강정안 선생님을 시작으로 선생님들이 직접 교사 교육과정을 세우기 위한 실습을 시작해 보았다. 교사 교육과정을 세우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학습자 분석이다. 학습자뿐만 아니라 학교, 동료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등 다양한 분석이 필요하기에 교사 교육과정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SWOT에 맞게 분석해 보았다.

4. 좋.아.해(좋은 점, 아쉬운 점, 해결 방법) 분석으로 수업 비전 세우기 - 이나영 선생님

두 번째 단계로 지금까지 본인의 수업에 대한 좋은 점, 아쉬운 점, 해결 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반성과 성찰의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본인의 수업 비전을 세우며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다짐과 함께 앞으로 함께 할 실습 활동을 위한 빌드업을 해보았다.

5. 성취 기준 분석과 수업 활동 계획 세우기 - 곽나연 선생님

세 번째 단계로 각자의 교과 성취 기준을 분석하고 이나영 선생님과 세웠던 수업 비전에 맞는 1차시의 수업 활동 계획을 세워보았다. 곽나연 선생님께서 차시 순서대로 학생들과 함께 했던 수업을 공유해 주어 선생님들이 부담스럽지 않게 교사교육과정을 세워볼 수 있었고, 수업 활동 계획을 세운 후 고민되는 점을 모둠별로 공유하고 조언을 받으며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6. 교사교육과정 수업 사례 나눔을 통한 피드백 - 박성미 선생님

다른 많은 연수를 들어도 서로의 사례를 나누고 피드백해주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되었다던 박성미 선생님은 선생님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도움이 되고자 지금까지 함께 했던 학습자 분석부터 수업 활동까지의 순서에 맞게 선생님의 교사 교육과정 실천 사례를 공유해 주셨다.

7. 교-수-평-기 일체화를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기록 사례 나누기 - 유효정 선생님

교사 교육과정팀의 마지막 유효정 선생님은 교-수-평-기 일체화의 마지막인 평가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셨다. 본인의 고등학교 생활기록부를 보여주시며 기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생들의 활동이 기록으로 이어진 사례를 다양하게 제시해 주며 생활기록부 작성 팁도 나누어 주셨다.

8월 교사 교육과정 운영 후기

교사 교육과정팀을 만나기 전에는 수업에 대한 고민이 나 혼자만의 고민이라는 생각이 많았고, 내 수업과 평가에 대한 이야기를 다른 선생님과 나누기가 조심스러웠다. 또, 학교의 특성에 맞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전공 책 속 이론상으로만 존재한다고 믿었었다. 하지만, 선생님들과 내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랐고 선생님들의 현실감 넘치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더 나은 수업을 위해 준비하고 노력한다면 가능한 일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그리고 우리 교사 교육과정팀 선생님들과 함께 공부하고 탐구하면 교육과정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생겼다. 교육과정의 전문가가 되겠다는 다짐이 교수학습 및 평가계획 마감 기한 혹은 수업 진도에 지쳐 포기가 될 때마다 서로가 서로에게 주는 당근과 채찍질로 교육과정의 을이 아닌 갑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준 교사 교육과정팀 사랑합니다!
▲8월 교사 교육과정 팀
세상엔 재미있는 게 정말 많아요! 저는 그 즐거운 세상을 함께 탐험하며 안내하는 선생님이 되고 싶습니다!
TOP